내가 젊은 40대 일때 불교에 관심이 있어 다니던 00절에서 계(戒)와 법명(法名)을 받고 내가 이를 지킬지 의문이라 하니 수계 하는 큰스님이 ‘처처불상(處處佛像) 사사불공(事事不供) 하면서 살아가면 된다고 하였다. 즉 내가 가는 곳 마다 부처가 있고 하는 일마다 공양이니 이를 잘 지키려 노력하면 걸림돌이 주춧돌이 되듯이 언젠간 깨달음이 오리라’ 하였다.
그 후 유마거사(維摩居士)의 수행기록인 유마경{維摩經)’을 접하고부터 유마거사처럼 재가불자도 깨달음에 이르는 길이 있구나 생각 하면서 내가 가는 곳에는 늘 부처님이 계신다고 보고 불교교리를 익히고 이를 널리 베풀어야 하겠다고 생각하였다.
「처처불상 사사불공」이란 말은 이 세상의 모든 사람과 우주 만물이 모두 부처이므로 모든 일에 불공하는 마음으로 경건하게 살아가라는 교리(敎理)이다. 불교에 관심 있는 분이 어떻게 살면 잘살 수 있냐고 물으면 ‘처처불상 사사불공’ 하면 잘산다고 하였다.
즉 우주 만물 가운데 부처님이 계시고 늘 당하는 일이 불공이니 마음에 새겨 그리하라는 것이다. 삼라만상을 부처님으로 알고 어느 곳에서나 하는 일마다 불공 하는 마음으로 살아가는 것이 잘사는 것이라 한다. 어느 곳에서나 부처님을 발견하여 불공하듯 살아가라는 것이다. 그러면 나날이 새로워지는 삶이 된다고 하였다.
그러자면 부자간에 서로 부처이니 부모의 입장에서 자식의 입장에서 공양을 해야겠지요. 부부간에도, 치구간에도, 형제간에도 서로가 부처라 여기고 공경하라는 것이다. 사람에게 있어서 제일 중요한 사람은 지금 만나는 사람이요, 가장 중요한일은 지금 하는 일이다. 그래서 지금 만나는 중요한 사람에게 따뜻하게 대하는 것이 곧 불공을 하는 것이다.
처처불상 사사불공 생활을 하는 사람은 곳곳에 있는 만물을 부처로 여기고 사랑하게 되니 미워하거나 죽이지 못한다. 만물을 부처님이라 생각하고 사랑하니까 항상 경건(敬虔)한 생활을 하게 된다. 항상 내 마음에 부처님을 모시고 살아가기 때문이다. 그래서 불교의 윤리 도덕을 잘 지켜서 서로 돕는 상생상화(相生相和)의 기운이 자라서 상생선연(相生善緣)의 좋은 인연을 맺어 기도하는 마음으로 살아가게 된다. 그래서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는 무시선(無時禪) 무처선(無處禪) 하면서 부처님의 은혜 속에서 살아가게 된다.
나도 부처이니 남의 잘못을 용서하는 것이 좋다. 힘든 일이지만 용서가 제도(濟度)이니 그냥 털어버리면 된다. 지금 사는 것도 꿈이니 집착할 일이 아니라는 것이다. 잘못하는 사람도 스승으로 알아 ‘저렇게 살지 말아야지’하고 깨우치고 나서 용서함을 잊지 말아야 한다.
세상이 온통 아수라장이지만 처처불상으로 곳곳에 부처가 있으니 내가 극락을 원하면 부처인 주변의 사람이나 만물 앞에서 세상의 모든 집착을 버리고 극락에 가도록 기도하되 매사에 사사불공의 정성을 다하는 마음을 써가면서 살아야 한다고 본다.
부처님한테 애걸복걸 빈다고 극락에 보내주지 않는다. ‘곳곳이 부처요 일마다 불공이라’는 가르침을 잘 알고 이를 잘 실천하면서 스스로 깨우쳐 극락의 길로 가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