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농사정보 (11. 7. ~ 11. 13.)
【농업정보】
❍ 기상정보
- 기온은 평년(8.8℃ ~ 10.4℃)과 비슷하거나 낮겠다.
❍ 금년도 사용이 끝난 농기계는 깨끗이 청소하여 농기계 창고안에
넣거나 외부에 보관 시에는 천막 등으로 덮어 관리토록 한다.
【작목별 핵심기술】
1. 식량작물
가. 벼
❍(건조 및 저장) 일반용은 45℃에서 종자용은 40℃이하에서 건조하며 저온저장은 수분함량 15%, 저장온도 10~15℃, 상대습도 70~80% 정도 유지토록 한다.
❍벼를 수확한 논에는 논 깊이갈이를 실시해 지력증진을 돕도록 한다.
나. 보리
❍보리를 파종한 논에는 습해와 동해예방을 위한 배수로 설치 및 정비토록 한다.
❍ 파종시기가 늦어졌을 경우에는 종자량 기준량의 20~30% 늘려 파종하고 밑거름으로 인산, 가리를 증시한다.
다. 콩
❍(정선 및 저장) 이물질 제거 후 수분함량이 14% 이하로 건조, 장기 저장 시 온도 5℃ 이하, 상대습도 60% 내외로 유지한다.
2. 밭 농 사
❍(가을감자) 예비저장은 온도 12~15℃, 습도 80~85%에서 1주일정도 실시, 본 저장은 온도 3~4℃, 습도 80~85%에 보관한다.
❍(고구마) 저장에 가장 알맞은 온도는 12~15℃이며, 습도는 85~90%로 유지한다.
3. 채 소
가. 노지채소
❍(양파정식) 양파는 조기에 정식을 완료토록 하고 양파를 심은후 곧바로 고랑에 물을 대어 정식한 구멍을 토양으로 메꿔 주어 뿌리 활착을 좋도록 한다.
❍ (마늘) 한지형 마늘을 심을 경우 11월 중순까지 파종을 완료 토록한다.
❍ (가을배추,무) 기온 하강에 따라 기상청 예보를 보아가며 동해 받기 전 수확토록 하고 수확이 늦을 경우 부직포나 비닐 등 한파에 대비토록 한다.
나. 시설채소
❍(딸기) 장희 등 숙기가 빠른 품종은 열매의 착색정도를 보아 가며수확토록 하고 밤 온도가 떨어지면 이중피복 등으로 5℃ 이상 유지하고 낮25℃, 밤8℃를 유지토록 한다.
❍(딸기) 급격한 저온에 대비한 보온시설 정비, 수정벌 투입을 하고 개화기에는 잎을 5~6매로 관리한다.
❍(시설상추) 상추 겨울재배 정식시기가 지나고 있으므로 11월중 순까지 정식토록 하고 식재방법은 35일정도 육묘한 묘를 120cm 폭두둑에 5~6줄로 심고 포기 간격은 25cm정도로 한다.
❍(시설채소) 밀폐된 하우스 내에서는 탄산가스 농도가 낮기 때문 에 인위적으로 탄산가스를 시비하면 광합성이 촉진되어 생육과 수량 및 품질을 향상 시킬 수 있다.
4. 과 수
❍수확이 끝난 과원에는 속효성 질소비료를 웃거름으로 주어 수세회복과 광합성작용을 높이고 저장양분을 축적토록 한다.
❍과원 내 관수시설은 배관과 물탱크에 물을 빼 주어 동파에 대비토록 한다.
❍수령이 적은 나무나 동해가 우려 되는 과원에서는 과수아래쪽에 수성페인트로 도포하거나 피복재로 감싸주도록 한다.
❍수확 또는 구입한 원료감은 0℃~1℃에 저온 저장하였다가 적기에 박피하여 건조토록 한다.
5. 특 작
❍ (약용작물) 마. 더덕 등 약용작물은 잎과 줄기가 마른 후 11월중.하순까지 수확을 마치도록 한다.
❍(느타리버섯)가을재배 느타리버섯은 버섯 재배사 내 습도를 80~85%로 유지토록 하고 11월 중순까지 수확을 마치도록 한다.
【자료제공: 함양군농업기술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