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기고 >
◐ 병법 삼십육계(兵法 三十六計) 중 제36계
 
함양신문 기사입력  2021/01/11 [10:38] ⓒ 함양신문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   박재성 사단법인 한국문자교육회장, 서울한영대학교 교수 한문교육학박사  © 함양신문

 

[번체] 走爲上計(달릴 주, 할 위, 위 상, 꾀 계)

[간체] 走为上计[zǒu wéi shàng jì] (죠우 웨이 샹 찌)

 

▶ 달아나는 것이 상책. 즉 적의 전력이 매우 강하면 싸워서는 안 된다. 그럴 때는 반드시 항복하거나 강화하거나 달아나 한다.

 

▶ 왕경칙(王敬則)은 '남제서(南齊書)'에서 "단공(檀公)의 36책, 도망치는 것이 가장 상책이다"라고 말하였는데, 여기서 비롯되어 '삼십육계 주위상계(삼십육계 줄행랑)'라고 흔히 말해진다.

 

▶ 후퇴하여 적을 피하고 물러남으로써 기회를 보아 적을 공격한다. 이것은 정상적인 용병 법칙에 어긋나는 것이 아니다. 적의 병력이 압도적으로 우세하여 이쪽에 승산이 없을 때에는 투항하거나, 강화를 맺거나, 퇴각하는 세 가지 길밖에 없다. 투항은 전면적인 실패지만, 퇴각은 실패가 아니라 승리에로의 열쇠가 될 수도 있다.

 

▶ 촉한말 위를 정벌하기 위해 군사를 일으킨 제갈량은 도중에 자신의 천수가 다한걸 알고 자신이 죽은후에 무사히 병력을 후퇴할 수 있는 계략을 짜놓았다고 한다. 사마의는 은근히 제갈량을 두려워하는 마음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를 이용한 계략이었다.

 

사마의 또한 천문으로 제갈량이 죽은걸 알고 후퇴하는 촉을 추격하였으나 제갈량이 그 모습을 나타내자 깜짝놀라 추격을 멈추고 후퇴하였다.

 

이때 나타난 제갈량은 나무로 만든 목각인형이었다. 뒤늦게 이를 안 사마의는 통탄을 했으나 '죽은 제갈량이 산 사마의를 물리쳤다'는 말이 생기게 되었다.

 

물론 촉의 병력은 무사히 후퇴를 할 수 있었다.

 

 

【간체자 핵심】

 

1. 번체자 爲(할 위)의 간체자 ‘为’는 ‘力(힘 력)’에 ‘丶(점 주)’ 두 개를 어울린 글자로, 땀방울[丶丶]이 떨어질 정도로 힘써[力] 일을 한다는 뜻으로 만든 간체자.

 

2. 번체자 計(꾀 계)의 간체자 ‘计’는 말[讠]로 열[十]까지 수를 세다[计]는 뜻으로 만든 간체자.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함양신문
 
 
◐ 병법 삼십육계(兵法 三十六計) 중 제36계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화과원

가장 많이 읽은 기사
지리산천왕축제, 강력한 희망메시지를 전하다 / 함양신문
민주평통 함양군협의회 ‘주민과 함께하는 북한음식 체험’ / 함양신문
함양군, 2024년 상반기 어린이통학버스 합동점검 실시 / 함양신문
[한만수 풍수전문가] 망하는 터 / 함양신문
함양군, 공동상표 농산물 포장재 지원사업 설명회 개최 / 함양신문
함양 향토기업고담조경·㈜신원 미래 세대를 위한 장학금 기탁 / 함양신문
함양소방서, 경남 일반인 심폐소생술 대회서 연꽃어린이집 3위 입상! / 함양신문
수동농협 양파 붐스프레이어 현장 시연회 개최 / 함양신문
함양도서관, 취약계층 운영기관과 업무협약(MOU) 체결 / 함양신문
서상우체국 4월 22일부터 신 청사에서 업무개시 / 함양신문
광고